블로그 이미지
the special... 98per_cent

카테고리

분류 전체보기 (381)
2% 부족한 이야기 (122)
잡학다식 백화점 (124)
클릭질에 잠못드는 밤 (85)
찰칵찰칵 사진관 (48)
about ronnie+ (2)
Total
Today
Yesterday

달력

« » 2025.5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
최근에 올라온 글

최근에 달린 댓글

'횡재'한 느낌 주는 '23번 국도' 드라이브
[오마이뉴스 이돈삼 기자]
▲ 해안 마을과 구릉, 얕은 산 밑의 해변을 지나가는 재미를 한꺼번에 만끽할 수 있는 국도23호선. 전라남도는 이 길을 '경관이 아름다운 도로'로 지정했다.
ⓒ2005 이돈삼
강진으로 가는 길은 언제나 가슴 설렌다. 아직도 유홍준 교수의 '남도답사 1번지'의 여운이 남아 있다고 하면 구닥다리라고 할까? 설사 그렇다고 해도 강진은 내 고향 같은 느낌이 드는, 편안한 곳이다.

고운 햇살에 봄꽃들이 막 피어나는 이른 봄에도,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어 바다로 산으로 향하는 여름에도 그랬다. 서늘한 바람의 감촉에 나뭇잎의 색깔이 조금씩 변색되는 요즘도 예외가 아니다.

강진은 늘 제 철에 맞는 모습으로 포근하게 맞아준다. 하여 드라이브 길에 만나는 강진은 꼭 재물이 아니더라도 뭔가 횡재를 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.

'모란이 피기까지는'으로 알려진 영랑 김윤식의 생가가 있는 전라남도 강진. 추석을 쇤 다음날 아름다운 남도의 자연과 우리 문화의 전통이 곳곳에 살아 숨쉬는 강진을 찾았다. 게다가 먼저 세상을 달리 한 친구를 만나러 가는 길목에서 만난 강진은 애틋한 마음까지 안겨 주었다.

▲ 도로변 곳곳에 바다를 향해 난 작은 길이 곳곳에 있어 갯내음을 쉽게 맡아볼 수 있다.
ⓒ2005 이돈삼


▲ 국도23호선에서 바라다 본 도암만. 만덕산과 주작산이 보인다.
ⓒ2005 이돈삼
그 중에서도 강진읍에서 칠량면, 대구면을 거쳐 마량항까지 강진만의 동쪽 해안을 달리는 23번 국도는 전망 좋기로 소문난 길이다. 도암만 주변의 해안경관과 만덕산, 주작산 등 산악경관의 전망도 수려하다.

해안 마을과 구릉, 얕은 산 밑의 해변을 지나가는 재미를 한꺼번에 만끽할 수 있다. 전라남도가 이 길을 '경관이 아름다운 도로', '전망 좋은 지점'으로 지정해 놓은 것도 이 때문일 게다.

총 길이 25㎞ 정도. 승용차로 30여 분 정도 걸리는 이 길의 가장 큰 매력은 확 트인 강진만을 바라보며 시원하게 바닷가를 달릴 수 있다는 점이다. 해안을 따라 옹기종기 모인 마을과 드넓은 갯벌에서 갯것을 캐내는 아낙들의 모습에서 진한 삶의 체취도 느낄 수 있다.

▲ 강진만을 감상하기에 가장 좋은 고바우상록공원. 해안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팔각정 '양이정'이 설치돼 있다.
ⓒ2005 이돈삼


ⓒ2005 이돈삼
차를 멈추고 강진만을 감상하기에는 대구면의 고바우상록공원이 제격이다. '양이정'이라 이름 붙은 팔각정이 세워져 있어 그림 같은 섬들을 품어 안은 강진만을 내려다보며 쉬어갈 수 있다.

우측으로 만덕산과 수양산, 주작산이 보인다. 멀리 가우도도 보인다. 가우도는 면적 0.22㎢로 10여 세대가 살면서 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작은 섬이다.

인근 저두리에는 초가집과 옹기, 돌담이 돋보이는 아담한 전통찻집이 자리하고 있어 차 한 잔과 함께 인상적인 강진만의 일몰도 볼 수 있다. 무릉도원이 바로 이런 곳일 것이란 생각이 들 정도다.

도로변 곳곳에 바다를 향해 난 작은 마을길이 곳곳에 있어 해변에 차를 세우고 갯내음을 맡아보는 것도 좋다.

▲ 강진군 대구면 미산마을 인근에서 아이들이 갯벌체험을 하고 있다. 이 곳에는 임진왜란 때 강진 출신의 염걸 장군이 허수아비를 의병과 수군 복장을 입혀 군사로 보이게 하는 ‘허수아비 작전’을 펼쳐 왜적을 전멸시킨 역사적 장면을 재현해 놓고 있다.
ⓒ2005 이돈삼


▲ 누렇게 물들어 가는 벼와 바다가 조화를 이루는 국도23호선.
ⓒ2005 이돈삼
이 길은 또 해마다 7월 말이면 '강진청자문화제'를 찾는 인파로 북적거리는 곳이다. 행사장으로 가는 길목이기 때문이다.

그리 머지않은 곳에서 도자기 굽는 냄새가 나고 금방이라도 턱수염을 길게 늘어뜨리고 양 손에는 진흙을 잔뜩 묻힌 도공이 나타날 것만 같은 착각이 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.

길 양 쪽으로 코스모스가 한들거리고 들판에는 누렇게 채색되어 가는 벼가 바다와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을 연상케 한다.

이 길 주변에는 들러볼 만한 문화유산도 산재해 있다. 영랑생가를 비롯해서 칠량면의 옹기마을, 대구면의 고려청자도요지, 마량항의 가막섬 상록수림 등이 대표적인 곳들이다.

▲ 강진만 갯벌을 좀 더 가까이서 볼 수 있도록 설치된 침목다리.
ⓒ2005 이돈삼


ⓒ2005 이돈삼


▲ 강진 마량에서 이어지는 장흥군 대덕읍 신리 앞바다. 이 곳에서는 물고기를 맨 손으로 잡는 개매기체험이 가능하다.
ⓒ2005 이돈삼
Posted by 98per_cent
, |